설계
사진
시공사
양주 평온재(平穩齋)는 건축주와 닮았다. 집의 형태뿐만 아니라 배치와 마감에 이르기까지 건축주의 생각을 읽고 해석하는 과정에 집이 나타났다. ‘나타났다’라는 말이 가장 적확하다. 집을 계획하는 건축가로서 한 일은 그저 이야기를 들어주고 선택에 약간의 도움을 준 것뿐이었다.
여느 택지지구와 같이 옥정신도시 택지지구 내 대지는 정갈하게 구획된 도심 속에 있다.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직선의 대지가 아니라 부채꼴의 모양을 한 점이었다. 도로가 있는 남쪽은 좁고, 공원이 있는 북쪽은 넓은 부채꼴 모양의 대지 속에 집을 어떻게 앉힐지가 가장 큰 과제였다.
Site Plan
건축주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집을 바랐다. 동시에 개방감 있는 집을 짓기 원했다. 하지만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법규상 담장의 설치는 1.2m 이하가 되어야 했고, 그마저 투시형 담장을 설치해야 했기에 담장은 그 대안이 될 수 없었다. 대지의 조건과 법률은 건축주가 바라는 삶의 모습과 대척점을 이루고 있었다.
Section
Section
한계를 짓는 것도 대지지만, 해답은 언제나 대지 속에 있다. 건축가는 3개의 매스를 연결해 자연스럽게 마당을 구성해 해결했다. 부채꼴 모양 대지에 앉은 건물은 삼각형 땅의 특성을 그대로 살린 좁지 않은 중정을 만든다. 3개의 매스가 만들어낸 모습은 군집을 이루며 입체적인 입면을 만든다. 매스 사이사이에 둔 창은 다양한 풍경과 빛을 끌어들인다. 3개의 매스는 다른 모습만큼이나 쓰임을 달리한다. 깊은 처마에서부터 시작되는 여정은 높고 긴 거실을 지나 개별실까지 이어지고, 삼각형의 모서리와 꼭짓점이 만들어내는 예각은 미묘한 긴장감을 만들어 낸다.
Plan_1F
평소 집의 이름을 따로 짓지 않지만, 건축주는 평온재(平穩齋)라는 이름을 지었다. 살면서 평온하고 지으면서도 평온한, 과정에서 평온한 집을 염두에 두며 이름을 지었다고 했다. 하지만 시공과정이 결코 평온하지만은 않았다. 건축주의 배려와 시공사의 노력 없이는 평온재(平穩齋)는 불안하게 서 있었을지도 모른다. 평온재(平穩齋) 과정을 함께 해준 건축주와 시공사에 노고와 감사하며 앞날에는 평온한 날만이 가득하기를 바란다.■
Plan_2F